실손보험 갱신 시 보험료 인상률, 얼마나 오를까?
매년 오르는 실손보험, 인상률은 왜 이렇게 높을까?
최근 몇 년 사이 실손의료보험 갱신 시 보험료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많은 분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히 구실손, 표준화 실손, 착한 실손 등 세대별로 보험료 인상률이 다르게 나타나 혼란도 커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실손보험 갱신 시 보험료가 얼마나 오르는지, 왜 오르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손보험 종류별 인상률 차이
실손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 구분됩니다.
각 세대별 인상률이 크게 다르며, 그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손보험 | 가입 시기 | 2024년 평균 인상률 |
구실손 | 2009년 10월 이전 | 약 20% 이상 |
표준화 실손 | 2009년 10월~2017년 | 약 15% 내외 |
신실손(착한실손) | 2017년 4월 이후 | 약 3~5% 수준 |
가장 오래된 구실손은 손해율이 높아 보험료 인상 폭도 가장 큽니다.
보험료 인상의 핵심 원인, 높은 손해율
보험사들이 실손보험 보험료를 올리는 주된 이유는 "손해율" 때문입니다.
보험금 지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손해율이 100%를 넘기고, 이는 결국 다음 해 갱신 때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집니다.
손해율 = 지급 보험금 ÷ 받은 보험료
구실손은 손해율이 140~150% 이상으로, 보험사 입장에선 적자가 계속되는 구조입니다.
2025년 전망, 보험료 인상 언제까지?
2025년 이후에도 실손보험료는 일정 수준 인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비급여 진료 이용이 많은 구실손, 표준화 실손 가입자의 경우, 매년 10~20% 인상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금융당국이 관리 강화에 나서면서, 2026년부터는 인상률이 점차 완화될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보험료 인상을 피하는 방법은 없을까?
보험료 인상을 막을 수는 없지만,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항목 | 설명 |
신실손으로 전환 | 착한 실손으로 갈아타면 인상률 감소 |
보장 항목 정리 | 불필요한 특약 해지 |
병원 이용 패턴 점검 | 불필요한 비급여 치료 자제 |
특히 신실손으로 전환하면 본인부담금은 늘어나지만 보험료는 크게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손보험료 인상, 나도 해당될까?
모든 갱신형 실손보험은 나이와 손해율, 병원 이용 기록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40대 중반의 구실손 가입자는 2023년 기준으로 월 3만 원대에서 2024년엔 4만 원대로 인상된 사례가 많습니다.
연령대별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령대 | 구실손(월 평균) | 표준화 실손 | 신실손 |
30대 | 22,000원 | 18,000원 | 11,000원 |
40대 | 35,000원 | 27,000원 | 14,000원 |
50대 | 48,000원 | 38,000원 | 19,000원 |
전문가 조언, 실손보험 유지 vs 전환
전문가들은 "의료 이용이 잦지 않다면 신실손으로 전환"을 권장합니다.
기존 구실손의 혜택이 좋아 보여도 보험료가 빠르게 오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손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환 시 주의할 점은, 전환 후 기존 병력에 대한 보장은 일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결론, 실손보험은 관리가 핵심입니다
보험은 가입 이후가 더 중요합니다.
특히 실손보험은 매년 갱신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인의 건강 상태, 병원 이용 습관, 보험료 인상률 등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조정해야 장기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더 이상 "한번 가입하고 끝"이 아닌 시대, 지금 내 보험을 다시 한 번 살펴보세요.
4세대 실손보험 갱신 주기, 제대로 알고 준비하세요
4세대 실손보험, 갱신 주기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모르면 매년 보험료가 훌쩍 오를 수 있습니다!특히 최근 개편된 실손보험은 갱신 주기와 조건을 꼭 확인해야불필요한 손해를 피할 수 있습니다
catchclub.kokoguru.com
댓글